Q&A
HOME >> 커뮤니티 >> Q&A

[소부장반차장] SK하이닉스 2분기 실적 발표…분기 최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07-27 12:31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상조내구제 [소부장반차장] SK하이닉스 2분기 실적 발표…분기 최대 기록 갈아치워디지털데일리 소부장반차장 독자 여러분, 이번 주도 반차장이 반도체 업계의 중요한 이슈를 전해드립니다. <반차장보고서>에서는 이번 주에 놓쳐서는 안 되는 주요 뉴스들을 간결하게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놓친 반도체 이슈를 확인해 보시죠. <편집자주>SK하이닉스 청주 M15. [ⓒSK하이닉스][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경신하며 AI 시대의 수혜 기업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습니다. 같은 시기 글로벌 메모리 3사(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는 차세대 D램 표준인 DDR6 프로토타입 개발을 완료하고, 시장 진입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대역폭·고성능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세분화되고 다양화되면서, 메모리 업계의 기술 전환 속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먼저 SK하이닉스는 지난 24일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연결 기준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 순이익 6조996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4분기의 기존 기록을 넘어선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AI 인프라 투자가 지속된 가운데, 서버·PC용 메모리 수요 회복과 선제 주문이 겹치며 우호적인 환경이 형성된 덕분입니다.SK하이닉스는 하반기에도 메모리 시장의 흐름이 긍정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AI 시장이 훈련에서 추론으로 옮겨가고, AI 에이전트·리즈닝 모델 등으로 세분화되면서 고성능·고용량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HBM은 이러한 AI 워크로드 확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는 설명입니다.또한 연내 본격 공급이 예정된 서버용 소캠(SOCAMM) 모듈과, 연말부터 가동될 예정인 6세대(1c) D램 전환 계획도 공개됐습니다. 여기에 하반기 M15X 신규 팹 가동을 시작으로 생산 대응력을 더욱 강화해 실적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겠다는 전략입니다.낸드플래시 부문은 전분기 대비 70% 출하 증가라는 양호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평균 판매가격(ASP)은 소폭 하락했[소부장반차장] SK하이닉스 2분기 실적 발표…분기 최대 기록 갈아치워디지털데일리 소부장반차장 독자 여러분, 이번 주도 반차장이 반도체 업계의 중요한 이슈를 전해드립니다. <반차장보고서>에서는 이번 주에 놓쳐서는 안 되는 주요 뉴스들을 간결하게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놓친 반도체 이슈를 확인해 보시죠. <편집자주>SK하이닉스 청주 M15. [ⓒSK하이닉스][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경신하며 AI 시대의 수혜 기업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습니다. 같은 시기 글로벌 메모리 3사(SK하이닉스⋅삼성전자⋅마이크론)는 차세대 D램 표준인 DDR6 프로토타입 개발을 완료하고, 시장 진입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대역폭·고성능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점점 더 세분화되고 다양화되면서, 메모리 업계의 기술 전환 속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먼저 SK하이닉스는 지난 24일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연결 기준 매출 22조2320억원, 영업이익 9조2129억원, 순이익 6조996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4분기의 기존 기록을 넘어선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AI 인프라 투자가 지속된 가운데, 서버·PC용 메모리 수요 회복과 선제 주문이 겹치며 우호적인 환경이 형성된 덕분입니다.SK하이닉스는 하반기에도 메모리 시장의 흐름이 긍정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특히 AI 시장이 훈련에서 추론으로 옮겨가고, AI 에이전트·리즈닝 모델 등으로 세분화되면서 고성능·고용량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HBM은 이러한 AI 워크로드 확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는 설명입니다.또한 연내 본격 공급이 예정된 서버용 소캠(SOCAMM) 모듈과, 연말부터 가동될 예정인 6세대(1c) D램 전환 계획도 공개됐습니다. 여기에 하반기 M15X 신규 팹 가동을 시작으로 생산 대응력을 더욱 강화해 실적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겠다는 전략입니다.낸드플래시 부문은 전분기 대비 70% 출하 증가라는 양호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평균 판매가격(ASP)은 소폭 하락했습니다. 다만 엔터프라이즈SSD(eSSD)를 활용한 캐시 메모리 수요가 확대되면서, AI 인프라 확산에 따른 장기적 수요는 여전히 견조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SK하이닉스는 HBM4의 연내 생산과 내년 양산을 예고하며 기술 리더십 유지에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입출력(I/O) 단자 증가, 저전력 설계, 베이스 다이 구조 변경 등 다양한 기술 상조내구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호명 신성사 | 대표자 박한규 | 사업자등록번호 106-50-64457 | TEL 02-713 –3691 | FAX 02 - 716 - 8564 | ADD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58길 17 나우빌딩 2층 | E-mail help@sscom.co.kr

Copyrightsⓒ2016 신성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