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HOME >> 커뮤니티 >> Q&A

[서울신문 나우뉴스]남극 크릴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5-18 05:30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서울신문 나우뉴스]남극 크릴 [서울신문 나우뉴스]남극 크릴(크릴새우) 자료사진. 출처 Lukas Hüppe / Universität Würzburg지구 역사상 가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 (흰긴수염고래)는 사실 고래 중에서 가장 작는 먹이를 사냥한다. 대왕고래의 주식은 남극 크릴 같이 작은 갑각류나 플랑크톤이다. 크기는 작아도 숫자가 워낙 많아 대왕고래 같은 큰 동물도 배불리 먹일 수 있기 때문이다.우리에게는 크릴새우라는 명칭으로 더 친숙한 남극 크릴 (Antarctic krill 학명 Euphausia superba)은 사실 새우 같은 십각목이 아니라 난바다 곤쟁이목이라는 다른 부류의 갑각류다. 물론 외형은 마치 투명한 새우처럼 생겨서 새우라는 명칭이 크게 이질감 없이 느껴지는 종이기도 하다.남극 크릴은 몸길이 6cm 이하, 몸무게 2g 이하의 작은 갑각류이지만, 바다를 뿌옇게 만들 정도로 개체 수가 많아 바닷물과 함께 삼키면 대왕고래도 충분히 먹을 양이 나온다.물론 대왕고래 이외에도 펭귄이나 다른 해양 생물도 크릴을 주식으로 먹고 살기 때문에 남극 앞바다 해양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물체라고 할 수 있다.그런데 사실 크릴이라고 해서 아무 대책 없이 잡아 먹히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크릴 역시 생존을 위해 바다 위아래로 꾸준히 움직인다. 크릴 역시 육식 동물로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살아가는데, 그렇다고 대낮에 얕은 바다에서 플랑크톤을 잡다가는 대왕고래의 한 끼 식사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단 깊은 바다로 피했다가 밤에 사냥을 하는 것이다.독일 율리우스-막시밀리안 뷔르츠부르크 대학 (JMU))의 루카스 휘페가 이끄는 독일, 영국 연구팀은 남극 크릴이 캄캄한 깊은 바다에서도 시각을 알아내는 비결을 알기 위해 남극해에서 크릴을 잡아 실험실에서 연구했다.연구팀은 크릴이 며칠 동안 캄캄한 환경에 있더라도 낮과 밤 시간대에 맞춰 아래위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일부 동물에서 볼 수 있는 생체 시계가 남극 크릴에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생체 시계의 원리는 규명하지 못했지만, 적어도 몇일 정도는 외부 자극 없이도 낮과 밤 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는 [서울신문 나우뉴스]남극 크릴(크릴새우) 자료사진. 출처 Lukas Hüppe / Universität Würzburg지구 역사상 가장 큰 동물인 대왕고래 (흰긴수염고래)는 사실 고래 중에서 가장 작는 먹이를 사냥한다. 대왕고래의 주식은 남극 크릴 같이 작은 갑각류나 플랑크톤이다. 크기는 작아도 숫자가 워낙 많아 대왕고래 같은 큰 동물도 배불리 먹일 수 있기 때문이다.우리에게는 크릴새우라는 명칭으로 더 친숙한 남극 크릴 (Antarctic krill 학명 Euphausia superba)은 사실 새우 같은 십각목이 아니라 난바다 곤쟁이목이라는 다른 부류의 갑각류다. 물론 외형은 마치 투명한 새우처럼 생겨서 새우라는 명칭이 크게 이질감 없이 느껴지는 종이기도 하다.남극 크릴은 몸길이 6cm 이하, 몸무게 2g 이하의 작은 갑각류이지만, 바다를 뿌옇게 만들 정도로 개체 수가 많아 바닷물과 함께 삼키면 대왕고래도 충분히 먹을 양이 나온다.물론 대왕고래 이외에도 펭귄이나 다른 해양 생물도 크릴을 주식으로 먹고 살기 때문에 남극 앞바다 해양 생태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물체라고 할 수 있다.그런데 사실 크릴이라고 해서 아무 대책 없이 잡아 먹히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크릴 역시 생존을 위해 바다 위아래로 꾸준히 움직인다. 크릴 역시 육식 동물로 작은 식물성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살아가는데, 그렇다고 대낮에 얕은 바다에서 플랑크톤을 잡다가는 대왕고래의 한 끼 식사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단 깊은 바다로 피했다가 밤에 사냥을 하는 것이다.독일 율리우스-막시밀리안 뷔르츠부르크 대학 (JMU))의 루카스 휘페가 이끄는 독일, 영국 연구팀은 남극 크릴이 캄캄한 깊은 바다에서도 시각을 알아내는 비결을 알기 위해 남극해에서 크릴을 잡아 실험실에서 연구했다.연구팀은 크릴이 며칠 동안 캄캄한 환경에 있더라도 낮과 밤 시간대에 맞춰 아래위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는 일부 동물에서 볼 수 있는 생체 시계가 남극 크릴에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생체 시계의 원리는 규명하지 못했지만, 적어도 몇일 정도는 외부 자극 없이도 낮과 밤 시간대를 구분할 수 있는 비교적 정교한 생체 시계가 있다는 증거는 확인할 수 있었다.남극 크릴은 해양 생태계의 먹이 피라미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지구의 탄소 순환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그러나 최근 지구 온난화와 환경 오염으로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의 생태 [서울신문 나우뉴스]남극 크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상호명 신성사 | 대표자 박한규 | 사업자등록번호 106-50-64457 | TEL 02-713 –3691 | FAX 02 - 716 - 8564 | ADD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58길 17 나우빌딩 2층 | E-mail help@sscom.co.kr

Copyrightsⓒ2016 신성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