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7일(현지시간) 예루살렘에서 열린 국제 반유대주의 대응 회의에서 연설을 갖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단호한 조치를 높이 평가한다”고 밝히고 있다. 2025.03.28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가자지구 남부의 이른바 '모라그 축'을 통제하겠다고 나섰다. 모라그 축은 가자 남부 도시 라파와 칸유니스를 분리하는 통로인데, 사실상 가자지구를 분할하겠다는 것이다.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네타냐후는 2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가자지구에서 방침을 변경하겠다"며 "모라그 축을 장악해 테러리스트를 공격하고 영토를 확보하며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를 파괴할 것"이라고 선언했다.네타냐후는 한때 유대인 정착촌이 있었던 모라그 축을 장악해 '제2의 필라델피 회랑'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필라델피 회랑은 가자지구와 이집트 국경 사이에 있는 14㎞ 길이 완충지대로 지난해 5월부터 이스라엘이 통제하고 있다.표면적인 목적은 남은 인질 59명의 석방을 위한 압박이다. 그는 "우리는 가자지구를 분할하고 압력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라며 "인질을 주지 않는 한 계속하겠다"고 경고했다.이스라엘 측은 하마스가 수정된 휴전안에 동의할 때까지 가자지구에 대한 군사 작전을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대규모 지역'을 점령하겠다고 발표했다. 25일(현지시간)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누세이라트 난민 캠프에서 이스라엘 군의 포격을 받은 건물서 연기 기둥이 솟아 오르고 있다. 2025.03.26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전문가들은 이스라엘군이 모라그 축을 장악해 칸유니스와 라파 사이의 경계선을 만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두고 이스라엘이 가자지구를 더 장기적으로 통제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NYT는 이스라엘이 하마스를 압박해 협상과 양보를 유도하려고 하는지, 아니면 가자지구에 대해 전보다 포괄적인 계획을 세운 것인지 불확실하다고 전했다.지난 1일 이스라엘은 중재국인 이집트·카타르를 통해 하마스 애플 일일 주가추이 - 야후 파이낸스 갈무리 (서울=뉴스1) 박형기 기자 =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미국 기술 기업의 주가가 일제히 급락, 시총 3조달러 기업이 멸종될 위기를 맞고 있다.트럼프 관세 폭탄 이전에 미국에서 시총 3조 달러를 상회한 기업은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였다.그러나 트럼프 관세 폭탄 위협으로 연초부터 기술주들이 급락, 이제 시총 3조달러 기업은 애플이 유일하다.그러나 애플도 시총 3조달러가 붕괴할 위기를 맞고 있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애플은 트럼프 관세 폭탄으로 9.25% 폭락한 203.19달러를 기록했다.이는 미국의 7대 기술 기업을 이르는 '매그니피센트 세븐'(M-7) 중 낙폭이 가장 큰 것이다.이로써 시총도 3조520억달러로 줄었다. 시총 3조달러를 겨우 턱걸이한 것.이는 전일 트럼프가 모든 국가에 10% 상호 관세를 부과한 것은 물론, 특정 국가에 대해서는 이보다 높은 관세율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34%, 대만은 32%의 관세율을 각각 적용했다.애플은 중국에 아이폰 조립 공장이 있고, 대만 반도체 업체로부터 부품을 공급받고 있다.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가 중국과 대만에 고율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과 대만에서 들여오는 부품과 완제품에 관세가 부과될 것이란 우려로 주가가 급락했다. 그러나 시총 3조달러는 사수, 미국 기업 중 유일하게 시총 3조달러를 유지하고 있다.이날 현재 미국 기업 시총 순위는 애플이 3조520억달러로 1위, MS가 2조7730억달러로 2위, 엔비디아가 2조4830억달러로 3위를 각각 달리고 있다. 미국 기업 중 시총 1조달러를 넘는 기업 - 야후 파이낸스 갈무리 시총 1조달러를 넘는 기업도 7개로 줄었다. 관세 폭탄 이전에는 10개 이상이었다. 애플은 겨우 520억달러로 시총 3조달러를 사수하고 있다. 조금만 더 떨어지면 미국 기업 중 시총 3조달러 기업이 사라지는 것이다.sino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