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상승이 부른 ‘러브버그’ 확산최근 4
《기온 상승이 부른 ‘러브버그’ 확산최근 4, 5년간 수도권을 중심으로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크게 늘어 시민 불편이 크다. 학계에서는 기후 변화와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겨울철 기온과 수온 상승 등이 곤충 번식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4일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서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방제 작업을 벌인 환경부 직원이 이날 수거된 러브버그 사체가 담긴 봉투를 들어 보였다. 최근 계양산에는 계단에 발 디딜 틈도 없이 러브버그 사체가 쌓이는 등 러브버그가 대량으로 출몰해 등산객의 불편이 컸다. 인천=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2015년 6월 28일 인천 부평구 산곡동. 등에 붉은색을 띤 파리들이 무리를 지어 비행했다. 몸의 길이는 약 6mm 정도로 다리가 몸에 비해 긴 편이었다. 특이하게 크기 차이를 보이는 두 마리가 함께 붙어 다니기도 했다. 짝짓기 하는 모습을 연상시켜 ‘러브버그(Love Bug)’라고 불리는 벌레다. 이날 인천 낮 최고기온은 평년보다 3도 이상 높은 26.3도였다. ‘러브버그’로 알려진 붉은등우단털파리는 10년 전 당시만 해도 생소했다. 이듬해인 2016년과 2017년에는 국내에서 크게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2018년 7월 4일 인천 미추홀구 수봉산에서 다시 목격됐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인천 남동구, 서울 종로·용산·마포·은평구와 경기 고양시로 확산했고 2022년에는 경기 부천시와 광명시에도 번졌다.2023년에는 동남부 일부를 제외한 서울 전역에서 발견됐고 경기 시흥·과천·구리·의정부시 등으로 확대됐다. 지난해에는 서울 송파·강동구, 경기 남양주·하남·성남·파주시에서 새롭게 관찰됐다. 최근 들어 여름이 본격화되는 6월 말, 7월 초가 되면 등장해 수도권 주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과거에 없던 생물체의 등장에 환경에 문제가 생긴 건 아닌지, 혹시라도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게 아닌가 주민들의 걱정이 크다. ● 기온-습도 높아지면 ‘러브버그’ 번식 증가 사람들은 말한다. “영남에 맛있는 요리가 있어?” 때론 이런 말도 덧붙인다. “거긴 한국에서 제일 먹을 게 없는 도시들이야.” 과연 그럴까? 호남에서 4년, 서울에서 18년, 나머지 시간을 영남에서 살고 있는 필자로선 이런 이야기를 들을 때면 뭔가 말하고 싶은 열망에 몸이 들썩거린다. <역사와 스토리가 있는 영남 음식>은 그런 이유에서 발원한 졸고다. [편집자 주]2000년대 초반 이야기다. 지금은 한국작가회의로 이름을 바꾼 문인단체가 ‘민족문학작가회의(이하 작가회의)’로 불리던 시절. 작가회의 사무실은 5호선 공덕역 지척에 있었고, 기자 초년병이던 나는 그 사무실을 아버지 집보다 더 자주 드나들었다. 당시 작가회의 이사장은 소설가 이문구(2003년 타계). 시인 김정환이 상임이사였다. 그날도 요즘처럼 폭염이 이어지는 여름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이문구 이사장과 김정환 상임이사, 시인 이시영, 지금은 순천대학교 교수로 있는 소설가 전성태 등이 사무실에 모였는데 누군가 “오늘 점심은 시원하게 냉면 어때?”라고 제의했다. 어느 아이돌 가수의 노래 제목처럼 첫 만남은 너무 어려웠던 평양냉면. 이제는 서울에 갈 때면 제일 처음 찾는 음식이 됐다. 서른한 살 젊었던 내가 평양냉면을 처음 맛본 날이다. 업력이 수십 년에 이르는 유명짜한 평양냉면집 하나가 마포구 염리동에 있고, 작가회의에서 도보로 10여 분이면 도착할 수 있는 거리였다. 초면으로 인사 나눈 평양냉면은 어땠냐고? “감동스러운 맛 아니었냐”고 지레짐작해 묻는 이들이 적지 않겠지만, 천만에. 실망스럽기 짝이 없었다. 송아지 목욕시킨 물에 거칠게 툭툭 끊어지는 거무튀튀한 면을 담아낸 맛대가리 없는 국수라고 느꼈으니. 평양냉면과의 첫 만남은 별반 유쾌하지 못한 기억으로 남았다. 근데 왜였을까? 아주 가끔씩 그 밍밍한 국물과 거친 면발이 떠올랐고, 시간이 흐를수록 그것들이 떠오르는 순간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이듬해엔 10번쯤 그 냉면집을 갔고, 그다음 해엔 20번쯤 갔으며, 경북 포항으로 주거를 옮긴 후 볼일 보러 서울에 갈 때면 가장 먼저 서울역에서 택시를 잡아타고 “마포역
《기온 상승이 부른 ‘러브버그’ 확산최근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