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미국의 '관세 폭탄' 위협에도 러시아와의 우호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25-08-11 01:31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천안아이파크시티
인도가 미국의 '관세 폭탄' 위협에도 러시아와의 우호 관계를 고수하는 배경으로 역사적·경제적으로 가까웠던 인도-러시아 간 관계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게 러시아와의 관계를 재설정하라고 설득하기 힘들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구 소련이 해체되기 전인 냉전 시대 때부터 인도와 러시아는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1960년대 중소 분쟁이 고조된 이후 소련은 인도와 급속히 가까워졌다. 특히 미국이 파키스탄을 지원하고 인도의 핵실험 이후 각종 제재를 가하면서 이런 양국 관계는 더욱 긴밀해졌다. 하르시 판트 싱크탱크 인도전략연구소(ORF) 소장은 "인도 국민은 역사적인 이유로 러시아를 여전히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본다"며 "반면 미국에 대해선 항상 파키스탄 편에 가까웠다고 믿는다"고 전했다.이로 인해 인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에도 국제사회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지 않았고, 오히려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며 이익을 봤다. ORF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가 수출한 원유의 3분의 1 이상은 인도가 구입했으며, 인도는 이를 통해 해외에 석유제품을 팔아 높은 이윤을 확보했다.물론 러시아는 중국에 인도 보다 더 많은 원유를 수출하고 있지만, 대중 의존도 심화를 우려하는 러시아 내부 기류 탓에 인도와의 관계를 더욱 중시하고 있다. 최근 3년간 러시아와 인도의 교역은 690억 달러(약 96조원)로 급증했다국방도 인도가 러시아에 의존하는 대표적인 분야다. 소련과 러시아산 무기는 인도군의 군수 자산의 절반 이상에 달한다. 인도는 지난달 러시아에서 신형 스텔스 호위함을 취역했고, 인도 국내에서 러시아의 기술 지원으로 호위함 2척을 건조하고 있다. 미국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안보전문가 애슐리 텔리스는 "인도가 러시아산 장비를 대체할 수 있더라도 실제 완전히 교체하는 데는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지나치게 러시아산 원유와 무기를 구매한다고 불만을 표시했고, 이후 인도의 수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에 수출하는 인도 제품의 관세율은 50%로 오르게 됐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 8일 미국 백악관에서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왼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가 손을 맞잡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집권 2기 들어 세계 각국에서 트럼프에 대한 노벨평화상 추천이 쏟아지고 있다. 공개적으로 이런 입장을 표명한 나라만 10국에 달한다. 표면상 사유는 ‘분쟁 중재로 평화에 기여한 공로’지만 실제 배경을 들여다보면 자국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트럼프의 노벨상 집착을 공략하는 외교적 카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관세 전쟁과 안보 지형 재편 등 변화 속에서 각국 정상들이 “트럼프를 치켜세우면 실속을 챙길 수 있다”고 계산하면서 노벨평화상 추천이 가장 강력하면서도 효율적인 카드가 됐다는 것이다.8일 미국 백악관에서는 30년 넘게 옛 소련 지역에서 영토 분쟁을 벌여온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정상이 트럼프 중재로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 양국은 분쟁 종식에 합의하고 양국 영토를 잇는 교통로, 일명 ‘국제 평화와 번영을 위한 트럼프 루트(TRIPP)’ 개발 권한도 미국에 일임하기로 했다.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과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서명식에서 “노벨평화상 후보로 트럼프 대통령을 공동 지명하겠다”며 “트럼프가 아니라면 누가 자격이 있겠느냐”고 했다. 이에 트럼프는 “내가 뭘 해도 그들(노벨위원회)은 내게 상을 주지 않을 것”이라며 “상을 받으면 분명 매우 영광이겠지만, 난 상을 위해 (평화 중재를) 하는 게 아니다. 정말로 인명을 구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픽=김현국 트럼프는 집권 1기부터 노벨평화상에 대한 집착을 공공연히 드러내 왔다. 민주당 소속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9년 노벨평화상을 받자 불만을 드러내며 “급진 좌파 노벨상 위원회가 나에게는 상을 주지 않는다” “내가 오바마보다 더 자격이 있다”는 주장을 반복하기도 했다.트럼프를 추천하는 경향은 노골적 아부로 국익을 추구하려는 중소 국가들 사이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노벨상 추천에는 별다른 비용이 들지 않아 ‘가성비’가 좋기 때문이다. 지난 7일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태국과의 국경 분쟁을 중재한 공로로 트럼프를 노벨평화상 후보로
천안아이파크시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