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도 직에 오르지 못한 항일과 절의의 고장... 홍주읍성과 두번의 항일의병조선은 읍성의 나라였다. 어지간한 고을마다 성곽으로 둘러싸인 읍성이 있었다. 하지만 식민지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대부분 훼철되어 사라져 버렸다. 읍성은 조상의 애환이 담긴 곳이다. 그 안에서 행정과 군사, 문화와 예술이 펼쳐졌으며 백성은 삶을 이어갔다. 지방 고유문화가 꽃을 피웠고 그 명맥이 지금까지 이어져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읍성을 찾아 우리 도시의 시원을 되짚어 보고, 각 지방의 역사와 문화를 음미해 보고자 한다. <기자말>봄바람이 간지럽다. 홍주 가는 길이 뭔지 모를 신명에 살짝 달뜬다. 희망, 새로움, 설렘 같은 정취는 봄이란 계절의 전유물일까. 길에서 풍운아 허균(許筠)이 떠오른다. 내자시정에 임명된 1607년, 홍주목사에 오르려 요로에 청탁했던가 보다. 홍주 출신인 스승 이달(李達)의 영향이었을까.예로부터 글 잘하는 이의 몫이었으니, 자부심 가득한 그도 내심 기대가 컸던 모양이다. 하지만 벗 '이안눌'의 차지였고, 허균은 부끄러움에 시 한 수를 남긴다.홍주 고을은 예로부터 글 잘하는 신하를 불러 썼으니 洪州自古用詞臣(홍주자고용사신)시인 소세양과 정사룡 이름이 그중 가장 뛰어났네. 蘇鄭詩名最絶倫(소정시명최절윤)검은 인 끈이 오늘 아침 이안눌에게 돌아갔으니 黑紱今朝歸子敏(흑불금조귀자민)자잘한 재주는 처음부터 남들보다 못하다네. 謏才元是不如人(소재원시불여인)乞洪陽不得而子敏爲之(걸홍양부득이자민위지) (허균평전. 허경진. 돌베개. 2002. p210)얼마나 살기 좋은 고을이었으면 직을 탐냈을까. 탄핵과 모함에 수도 없이 관직에서 쫓겨나기를 되풀이했어도, 홍주목사에 오르지 못한 아쉬움만은 시로 남겼으니 말이다.홍성 나들목을 벗어나자, 졸린 봄 햇살이 아지랑이를 피워올리는 와룡천 건너로 기와집이 번듯하다. 4월 햇살에 검은 지붕 선이 돋보이고, 낮은 산에 기댄 집에선 강한 기운이 뻗쳐온다. 그런데 남향이 아닌 북서향이라니? ▲ 김좌진 장군 생가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와룡천 변에 북서향으로 앉은 김좌진 장군의 생가. 서해안 고속도로 홍성 나들목 부근이다.ⓒ 이영천이곳은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대파한 항일무장투쟁의 본산이다. 19세기 조선을 뒤흔든 안동김씨 세도가 저 지붕 선에 아직도 남아 있을까? 어린 시절 노비를 해방하고 전답을 나눠줬다는 김좌진 장군 생가다.인조반정을 일으키고 병자호란 때 강화성이 함락되자 자결한 김상용의 11대손이다. 내포 지역이 올곧은 보수의 본향이란 사실을 저 검은 기와가 묵언으로 알려주는 듯하다.오늘날 타락한 그허균도 직에 오르지 못한 항일과 절의의 고장... 홍주읍성과 두번의 항일의병조선은 읍성의 나라였다. 어지간한 고을마다 성곽으로 둘러싸인 읍성이 있었다. 하지만 식민지와 근대화를 거치면서 대부분 훼철되어 사라져 버렸다. 읍성은 조상의 애환이 담긴 곳이다. 그 안에서 행정과 군사, 문화와 예술이 펼쳐졌으며 백성은 삶을 이어갔다. 지방 고유문화가 꽃을 피웠고 그 명맥이 지금까지 이어져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읍성을 찾아 우리 도시의 시원을 되짚어 보고, 각 지방의 역사와 문화를 음미해 보고자 한다. <기자말>봄바람이 간지럽다. 홍주 가는 길이 뭔지 모를 신명에 살짝 달뜬다. 희망, 새로움, 설렘 같은 정취는 봄이란 계절의 전유물일까. 길에서 풍운아 허균(許筠)이 떠오른다. 내자시정에 임명된 1607년, 홍주목사에 오르려 요로에 청탁했던가 보다. 홍주 출신인 스승 이달(李達)의 영향이었을까.예로부터 글 잘하는 이의 몫이었으니, 자부심 가득한 그도 내심 기대가 컸던 모양이다. 하지만 벗 '이안눌'의 차지였고, 허균은 부끄러움에 시 한 수를 남긴다.홍주 고을은 예로부터 글 잘하는 신하를 불러 썼으니 洪州自古用詞臣(홍주자고용사신)시인 소세양과 정사룡 이름이 그중 가장 뛰어났네. 蘇鄭詩名最絶倫(소정시명최절윤)검은 인 끈이 오늘 아침 이안눌에게 돌아갔으니 黑紱今朝歸子敏(흑불금조귀자민)자잘한 재주는 처음부터 남들보다 못하다네. 謏才元是不如人(소재원시불여인)乞洪陽不得而子敏爲之(걸홍양부득이자민위지) (허균평전. 허경진. 돌베개. 2002. p210)얼마나 살기 좋은 고을이었으면 직을 탐냈을까. 탄핵과 모함에 수도 없이 관직에서 쫓겨나기를 되풀이했어도, 홍주목사에 오르지 못한 아쉬움만은 시로 남겼으니 말이다.홍성 나들목을 벗어나자, 졸린 봄 햇살이 아지랑이를 피워올리는 와룡천 건너로 기와집이 번듯하다. 4월 햇살에 검은 지붕 선이 돋보이고, 낮은 산에 기댄 집에선 강한 기운이 뻗쳐온다. 그런데 남향이 아닌 북서향이라니? ▲ 김좌진 장군 생가홍성군 갈산면 행산리 와룡천 변에 북서향으로 앉은 김좌진 장군의 생가. 서해안 고속도로 홍성 나들목 부근이다.ⓒ 이영천이곳은 청산리에서 일본군을 대파한 항일무장투쟁의 본산이다. 19세기 조선을 뒤흔든 안동김씨 세도가 저 지붕 선에 아직도 남아 있을까? 어린 시절 노비를 해방하고 전답을 나눠줬다는 김좌진 장군 생가다.인조반정을 일으키고 병자호란 때 강화성이 함락되자 자결한 김상용의 11대손이다. 내포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