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우리처럼 부처님을 진심으로 아끼며 관
“일본이 우리처럼 부처님을 진심으로 아끼며 관리할지 걱정이에요. 또 전처럼 무슨 일이라도 생기지는 않을지….” 지난달 31일 충남 서산 부석사(浮石寺). 이날 사찰은 ‘금동관세음보살좌상(사진) 100일 친견 법회’가 열리고 있어 647년 만에 귀향한 부처님을 보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고려 시대(14세기) 제작된 높이 50.5cm, 무게 38.6kg의 이 불상은 2012년 한국인 절도범들이 일본 쓰시마섬 간논지(觀音寺)에서 훔쳐 와 팔려다 적발됐다. 이후 일본 측과 소유권 다툼 끝에 2023년 10월 대법원 판결로 돌려주기로 결정됐으나, 반환 전 불상을 모시고 법회를 열고 싶다는 부석사 측 요청으로 1월 25일부터 5월 5일까지 100일 친견 법회가 열리고 있다. 부석사 주지인 원우 스님은 “이제 한 달 정도밖에 안 남았는데 일본 측은 어디에 부처님을 모실지 결정도 못 한 상태”라고 답답해했다. ―애초 쓰시마섬 시립 박물관에 보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만…. 원우 스님은 “세계적인 추세가 변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 환수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서산=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지난달 25, 26일 친견 법회 상황을 알리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일본에 가 쓰시마시와 박물관 관계자들을 만났어요. 저도 시립 박물관에 모시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간논지 주지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라고 하더군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박물관을 원하는데, 지역 주민들은 간논지에 모시길 바란다는 거예요.” ―간논지는 무인 사찰 아닙니까.“상주하는 스님이 없는 사찰이지요. 주지도 다른 절 주지가 간논지 주지를 겸하고 있을 뿐이에요. 그런 곳에 부처님을 모시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2012년 도난도 그렇게 허술하게 방치했다가 벌어졌는데…. 그런데 관리·보관 면에서는 박물관이 낫겠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그것도 흔쾌히 선택할 수 있는 문[오문수 기자]▲ 우도 레인보우교 모습. 우도까지 걸어갈 수 있다.ⓒ 오문수 한센인들이 걸었던 '눈물의 길'을 따라 순천역에서 벌교를 거쳐 소록도까지 걷는 길 3일째(3월 29일) 일정은 남양면에서 고흥읍까지다. 흐린 날씨라 걷기는 좋았지만 손이 시릴 정도로 바깥 날씨가 차다. 그래서일까? 아니면 주말이어서일까? 남양면 사무소 인근에 왔는데도 사람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득량만을 바라보며 징검다리처럼 펼쳐지는 드넓은 갯벌에 물드는 노을빛이 아름답다는 '증산일몰전망대'를 지나 '우도레인보우교'로 갔다. 남양면 남양리 1311번지에 있는 우도는 남양면에 위치한 증산마을에서 하루 두 번 물이 빠졌을 때 약 1.2㎞의 '노두길'을 건너면 갈 수있다. 원래 섬 연안에 소머리 모양의 가로 1.3m 세로 8m 가량 되는 바위가 있어 '소섬' 또는 '쇠이(牛耳)'라 불렀으나 임진왜란 때 대나무로 화살을 만들었다고 하여 '우죽도(牛竹島)'로 불리다가 '죽(竹)'자를 없애고 '우도'라 개칭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일몰전망대가 유명하다는 증산마을로 가던 중 거울에 비친 모습을 촬영했다.ⓒ 오문수▲ 일몰이 아름답다는 증산일몰전망대에서 바라본 바다 모습. 해질무렵이 아니어서 아쉬웠다.ⓒ 오문수 농촌에서 태어났지만 도시에서 살고 승용차만 타고 다니다 고흥 옛길을 따라 걸으니 도로 주변에는 식품공장과 농기계정비공장이 많이 보인다. 농촌에도 기계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다. ▲ 도로변에 농기계정비공장이 보여 농촌이 기계화 되고 있다는 걸 실감했다.ⓒ 오문수▲ 도로변에 서있는 식품가공공장 모습ⓒ 오문수 순천역에서 벌교역, 벌교에서 녹동을 향해 계속 걸었더니 엄지발톱에 문제가 생겼다. 피멍이 든걸 보니 도보여행을 마치면 오른쪽 엄지발톱이 빠질 것 같다. 까짓것 뭐 훈장으로 여기지 뭐. 그러다 한하운의 <전라도 길> 시를 생각하며 마음을 다잡기로 했다.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숨막히는 더위뿐이더라.
“일본이 우리처럼 부처님을 진심으로 아끼며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