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누수 해결사 "물잡는사람들" 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Kali 작성일25-03-25 04:29 조회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이산화탄소 해결사 #헨리의법칙 #해조류 #다시마 #해초류 #잘피 #거머리말 #탄소저감 #생물다양성 #바다사막화 #인공증식대기 중에 이산화탄소는 상당 부분이 해양에 녹아듦.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으면 그만큼 해양에 많이 녹고,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적으면 그만큼 적게 녹아듦.2. 기체 분압(농도)에 따라 녹는 양이 달라지는 것을 헨리의 법칙이라고 함.3. 바다에 해결사 녹아든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수심 10m 이내 얕은 바다에 녹아 듦. 따라서 얕은 해수면은 이산화탄소가 포화상태인 경우가 있음.4. 이산화탄소가 포화가 된 바다는 더이상 이산화탄소를 받아 들이지 않거나 심하면 바다의 이산화탄소가 대기중으로 배출될 수 도 있음.5. 바다속에 녹아든 이산화탄소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수소를 만듦. 이 탄산수소는 수소이온과 해결사 중탄산이온으로 해리됨. 중탄산이온은 수소이온과 탄산이온으로 해리됨. 이 과정을 통해 수소이온농도(pH)가 증가하며 바다는 산성화됨.6.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낯추고, 바다의 산성화를 막기 위해 떠오른 해결사로 해조류가 있음.7. 해조류는 육상 식물과 다르게 동물도, 식물도, 균류도 아닌 원생생물로 분류됨. 8. 육상 식물은 땅 위에서 균일하게 쏟아지는 햇빛을 해결사 이용하지만, 물 속 해조류들은 깊이에 따라 이용하는 빛의 파장이 달라져 깊이에 따라 서식하는 해조류들의 색도 달라짐.9.어떤 해조류는 씨앗이 동물처럼 유영활동도 함. 갈조류인 다시마의 경우는 짚신벌레와 가까움.10. 다시마는 바다속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이 뛰어남. 1제곱킬로미터 면적에서 다시마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연간 6,000톤임.사진출처: 국립생물자원관11. 우리나라 해역에서 다시마를 키운다면 해결사 연간 13억 2,0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함. 이는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30%를 흡수하는 것과 같음.12. 이 때문에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의 양식이 이산화탄소의 핵심기술로 떠오름.13. 해조류와 더불어 해초류의 환경적 가치도 부상함.사진출처: 국립생물자원관14. 해초류는 해조류와 다르게 바다속에서 꽃도 피우고 씨도 맺는 현화식물임.15. 우리나라에서 관심을 갖고 있는 해초류는 해결사 잘피(seagrass)임. 잘피라고 불리는 거머리말(사진출처: 국립생물자원관)16. 우리나라에서 잘피라고 불리는 해초류는 거머리말임.17. 잘피는 바다에서 상당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블루카본임.18. 잘피는 해양생물의 산란처, 서식처 역할을 하며 생물다양성을 유지시킴.19. 남해안에 코클로디니움 같은 조류에 의해 발생하는 적조현상도 막아주는 친환경적 역할도 함.적조현상을 일으키는 코클로디니움(사진출처: 연합뉴스)20. 이렇게 긍정적인 역할을 해결사 하는 잘피가 사라져감.21. 연안 매립과 개발, 수질오염 등으로 잘피와 같은 해초류, 해조류 등이 사라져서 바다가 사막처럼 변함.바다사막화(사진출처: 에코피스아시아, 해양생태기술연구소)22. 해조숲, 해초숲이 사라진 사막 같은 해저에 성게들만 모여 있어서 '성게 사막(urchin barren)'이라고 불림.23. 해초류와 해조류의 종자를 뿌리거나 심어서 인공적인 해조숲, 잘피숲을 조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사진출처: 해결사 해양생태기술연구소;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올라가면 바다로 녹아드는 이산화탄소도 늘어난다.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 해양이 산성화되어 생태계가 파괴됨. 이산화탄소 증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시마 같은 해조류와 잘피와 같은 해초류의 가치가 급부상함. 하지만 해양 오염으로 해조류, 해초류가 사라지고 바다가 사막화 됨.그래서 해초류나 해조류를 인공적으로 심는 움직임이 활발해짐. 해결사 부디...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