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ause of Winn-Dixie 소설 수업 시작_블루밍 온라인 북클럽 FLOWER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rra 작성일25-03-27 15:02 조회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1차 소설수업 지필평가가 끝나고 아이들과 소설 수업을 하고 있다. 아이들과 함께 읽고 수행평가와 지필평가의 제재로 삼은 작품은 서유미 작가의 ;.(▲《땀 흘리는 소설》에 수록되어 있다.)소설 갈래 수업의 제재글로 교과서 밖 작품 중 무엇을 선택할까 고민하다가, 동료 선생님이 지필평가 문항 출제까지를 고려했을 때 2021 고2 6월 모의고사에 출제되었던 '저건 사람도 아니다'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씀하셔서 이 작품으로 선택했다. 이 작품으로 수업한 사례나 연구 자료가 많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로봇'이나 '워킹맘'등 소설이 다루고 있는 내용이 학생들에게 흥미롭게 느껴질 수 있을 듯했다.이번 소설은 꽤 비중이 높은 수행평가(28점)와 연계되고 지필평가 범위에도 해당하는데, 평가와 더불어 학생들이 소설을 흥미롭고 의미있게 읽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어서 어떻게 수업을 구성할까 이런저런 궁리를 해보았다. 그러다 이번에는 안전하게 기존에 내가 해보았던 소설수업 수업+이웃 선생님들의 사례를 토대로 수업 단계를 설계하자는 결론에 도달했다. (다행히 동교과 선생님도 내 수업 설계에 꽤 흥미를 보이며 동의하셨다.) 이번 학기에는 너무 욕심 내지 않고 '할 수 있을 만큼'해 보기.[수업의 흐름]1단계. 배움 열기 (소설은 왜 읽어야 하지?)2단계. 지식 익히기 (소설 감상의 원리) 3단계. 작품 읽기4단계. 작품 읽으며 정리하기5단계. 질문 만들기6단계. 비경쟁 토론하기7단계. 질문으로 깊이 읽기 예시글 읽고 글 얼개 세우기8단계. 서평 쓰기1단계. 배움 열기소설 수업의 시작은 애나샘이 서문을 읽고 학생들과 소설을 정의하고, 소설을 읽는 이유와 우리에게 소설이 필요한 이유를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2단계. 지식 익히기작품을 읽기 전, 이 내용을 토대로 학생들이 작품 정리를 하고 지필평가 대비를 할 수 있도록 소설과 관련한 이론 수업을 2차시 동안 진행했다. 수업에서 소설수업 판서/설명할 내용을 교사용 활동지에 적어두었다. 학생들에게 해당 내용을 추가 설명할 때, 네이버 지식백과-학생백과의 내용('국어 개념 교과서'에서 발췌한 것이라고 한다)을 많이 참고하였다.평면적 인물|입체적 인물·전형적 인물|개성적 인물·주동 인물|반동 인물·직접적 제시(말하기)·간접적 제시(보여주기). [인물] 소설 속 행동의 주체, 혹은 소설 속 인물의 성격까지 포함하는 개념. 인물은 소설을 이끌어가는 핵심적 역할을 담당해. 소설의 큰 줄기는 바로 사건에 의해 진행되는데 이 사건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인물이야. 그렇기에 인물 없이는 소설도 없겠지. 근대에 이르러서 인물에 대한 탐구가 활발해졌는데, 근대 정신에 기초한 소설들은 인간의 내면에 숨겨져 있는 특성을 밝히고, 새로운 인간상을 만들어 가는 데 큰 관심을 두...3단계. 작품 읽기단편 소설 작품이다보니 학생들에게 책 한 권을 구입하게 하기는 부담스럽고, 학생 수만큼 책을 구입할 만큼 학교 소설수업 예산이 충분하지 않아서 이번 소설 작품은 한글 파일로 작성하고 인쇄하여 아이들에게 나눠주었다. 그리고 1차시 동안 학생들이 작품을 읽으며 빈 칸을 채우도록 했다. (이 작품으로 수행평가와 지필평가를 모두 치를 예정이기에 학생들이 작품의 주요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빈 칸 채우기 활동을 넣었다.) ▼ 빈 칸 채우기 활동지는 창비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한 학기 한 권 읽기'활동지를 활용했다.한 학기 한 권 읽기 자료실 『가슴 뛰는 소설』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자료 『가슴 뛰는 소설』의 활동지와 정답 파일입니다. 『땀 흘리는 소설』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자료 『땀 흘리는 소설』의 활동지와 정답 파일입니다. 『땀 흘리는 시』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자료 『땀 흘리는 시』로 한 소설수업 학기 동안 독서 수업을 꾸릴 수 있도록 마련한 자료입니다. 『땀 흘리는 글』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 자료 『땀 흘리는 글』로 한 학기 동안 독서 수업을 꾸릴 수 있도록 마련한 자료입니다. 『오늘부터 나는 세계 시민입니다』 한 학기 ...4단계. 작품 읽으며 정리하기빈 칸을 채우며 작품을 읽은 다음 시간에는 1차시 동안 학생들이 교사가 제시한 4가지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해 작품 내용을 정리하는 활동을 했다. 《읽기 이해 교수 방법》에 실린 읽기 중 전략 중 4가지(이야기 지도, 인물 전시회, 그래픽 조직자, 열 개의 중요단어)를 뽑았고, 학생들에게 비교적 익숙한 마인드맵과 비주얼싱킹 방법도 비슷한 전략과 묶어 예시로 제시했다. (▼ 자세한 활동 설명과 예시는 작년에 수업했던 사례 참고)소설 수업을 할 때마다 학생들에게 소설수업 글을 어떤 방식으로 읽힐까 고민이다. 원래 긴 글을 잘 읽는 학생들이야...(교과서 밖 작품이라 따로 지필평가용 작품 정리가 되어있는 것이 없으니) 스스로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대비하기 위한 정리 자료를 만들어보자고 했다.(작품 정리를 잘한 학생은 명예의 전당_패들릿에 업로드하고 생기부에 기재해주고, 교사가 따로 작품 정리를 해주지 않고 학생들이 정리한 내용에 대해 피드백과 보충 설명 정도를 해줄 예정이라는 얘기를 덧붙였다.) 그랬더니 수행평가에 1점만 반영되는 활동임에도 학생들이 꽤 열심히 활동지를 작성했다. [이야기 지도]이야기 지도는 2단계에서 배운 '소설 감상의 원리'를 활용해 작품을 분석해보는 활동으로 제시했다.마인드맵도 일종의 이야기 지도라고 설명해주었는데, 마인드맵 형식을 학생들이 가장 익숙하고 흥미롭게 느끼는 모습을 보였다. 안내 사항과 예시에 '등장 인물', '줄거리', '어휘(핵심 키워드)'등이 제시되어서인지 학생들이 주로 이것들을 범주로 설정했다. [인물 소설수업 전시회/인물 관계도]소설의 구성 요소 중, '인물'에 초점을 두고 싶은 학생들은 이 방식을 선택해 정리해보도록 했다.;의 경우 인물들의 특징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편이고, 등장 인물이 많지 않아서인지 많은 학생들이 이 방식으로 정리했다. '홍'의 트윈 사이보그나 '로봇 도우미의 세계'관리자까지 정리한 학생도 있어 흥미로웠다.[그래픽 조직자]'사건'의 전개 과정이나 '갈등'에 초점을 두고 싶은 학생은 이 방법을 선택해 작품의 내용을 정리했다. 이 방식을 선택한 학생들은 3단계에서 빈칸 채우기를 했던 내용을 많이 참고한 것이 느껴졌다. [열 개의 중요단어]이 방식은 다른 것에 비해 분량이 적어 보여서인지 학생들이 처음에는 '이건 거저먹는 방법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렇지만 막상 이 활동을 선택한 학생들은 작품에서(또는 작품과 관련한) 열 개의 단어를 선택하고, 그 단어를 활용하여 요약문을 작성하는 것이 생각보다 소설수업 공이 많이 든다는 후기를 전했다. 교과서 밖 작품, 그것도 공유된 수업 사례나 자료가 많지 않은 작품으로 수업과 평가를 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기도 했는데, 학생들과 함께 활동을 해나가면서 '오- 이 수업 할만한데! 꽤 흥미로운데!'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그리고 작품 읽기와 정리 단계를 촘촘히 구성해 학생들이 이 과정에서 작품의 주요 내용을 잘 파악하게 한 덕에 이어서 진행하는 질문 만들기와 토론 활동 과정에 학생들이 꽤 적극적이고 흥미롭게 참여하고 있어 점점 걱정보다는 기대감을 갖고 교실에 들어가게 된다. 마지막 서평쓰기 단계까지 나도 학생들도 즐겁게 잘 해봐야지-덧) 학생들의 동의를 얻어 활동 결과물 중 일부를 캡쳐하여 올립니다.활동 과정과 학생들의 활동 수행 정도를 파악하시는 데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공유하니, 무단 배포나 복제, 좋지 못한 소설수업 의도로의 활용은 삼가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