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산업활동 증감 추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30 12:30 조회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그래픽] 산업활동 증감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7(2020년=100)로 전달보다 0.9% 증가했다. 0eun@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파이낸셜뉴스] 올해 1·4분기 소매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보합을 기록했다. 11분기 연속 감소세를 멈췄다. 설비투자도 5.5%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2.4% 늘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5년 3월 및 1·4분기 산업활동 동향'결과다. 한국은행이 올 1·4분기 전기대비 역성장을 예고했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1%로 하향조정한 가운데 나온 산업활동 성적표 치곤 나쁘지 않다. 하지만 4월부터 본격화 될 미국발 관세전쟁 악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 건설부문(건설기성, 토목) 부진은 멈출 줄 모르고 있다. 정부는 "통상리스크 대응과 내수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3월 '혼재'…생산↑, 소매·투자↓이날 발표된 '3월 및 1·4분기 산업활동 동향'에 대한 진단은 경기흐름에 대한 예단이 힘들다는 정도로 정리된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 1월 1.6% 전월 대비 감소했지만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3월 0.9%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도 2.9% 증가했다. 반도체 생산이 13.3% 늘어난 영향이다. 의약품 생산도 11.8% 증가했다. 3월 내수 지표가 가리키는 방향은 생산 부문보다는 나쁘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0.3% 감소했다. 소매판매지수도 0.3% 줄었다. 투자도 감소세다. 설비투자는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은 투자가 늘었지만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가 -2.6%를 기록했다. 건설수주는 8.7% 감소했다. 1·4분기 전체로 확대하면 내수 부문의 흐름은 다소 다르다. 특히 1·4분기 기준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분기 대비 0.7% 증가하고 전년동기 대비 보합을 기록한 게 주목된다. 이두원 통계청 [서울=뉴시스] [세종=뉴시스]임하은 기자 = 올해 1분기 국세수입이 지난해 기업 실적 개선으로 법인세가 늘면서 전년보다 8조4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1년간 거두기로 한 세수 중 몇 퍼센트가 들어왔는지 세수 실적을 보여주는 진도율은 대규모 세수 결손을 냈던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정부는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성장률 하락 우려가 높은만큼 세수 하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세수 감소 추세를 사전에 감지하고 대응하는 '조기경보'를 아직 울리진 않았지만 8월 법인세 중간예납이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작년 기업실적 개선에 1분기 법인세, 6.5조 증가 기획재정부가 30일 발표한 '2025년 3월 국세수입 현황'에 따르면 올해 1~3월 누계 국세수입은 총 93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4조9000억원)보다 8조4000억원 늘었다. 올해 총 국세수입 예산(382조4000억원) 대비 실제로 걷힌 세금의 비율을 말하는 진도율은 1분기 기준 24.4%다. 결산 실적 기준 세수진도율과 비교하면 2020년 24.3% 이후 가장 낮은 진도율이다. 이는 30조8000억원의 대규모 세수결손을 냈던 지난해(25.2%)보다도 소폭 낮은 수준이다. 최근 5년간 세수진도율 평균 25.4%보다는 1.0%포인트(p) 낮다. 1분기 세수 증가는 법인세가 견인했다. 1분기 법인세 수입은 전년보다 6조5000억원(34.6%) 늘어난 25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12월 말 결산법인의 지난해 사업실적 개선과 이자·배당소득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코스피 상장사의 개별 기준 영업이익은 2023년 38조7000억원에서 2024년 106조2000억원으로 174.4% 증가했고, 흑자로 전환한 법인 수 역시 17개 증가했다.1분기 소득세는 성과급 지급 확대와 근로자 수 증가로 2조8000억원(10.3%) 늘어난 30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부가가치세는 환급 증가 등의 영향으로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