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반구천 암각화를 처음
울산 반구천 암각화를 처음 발견한 문명대 한국미술사연구소장이 11일 서울 가회동 연구소에서 자신이 쓴 책을 들고 전천리 암각화를 설명하고 있다. “울산 반구천 암각화는 국내 최고, 최대, 최상의 유물입니다. ‘국보 중의 국보’가 세계에서 인정을 받았으니 더 이상 기쁠 수가 없습니다. 앞으로 연구가 더 이뤄져 한반도 문명의 우수성이 밝혀지길 기대합니다.”‘반구천 암각화’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소식에 암각화를 처음 발견한 문명대(84) 한국미술사연구소장(동국대 명예교수)은 12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1970년 12월 24일 울산 울주군 천전리 암각화가 그의 눈에 띈 지 55년 만에 이룬 쾌거다.신라 사찰 찾다 발견… 동물 등 270여 형상 울산 울주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국가유산청 제공 발견 당시 스물 아홉 살의 동국대 박물관 연구원이던 그는 울산에서 불적 조사를 하던 중이었다. 신라 초기 중국, 일본, 인도 등과 교역했던 울산에서 원효대사가 살았던 반고사(磻高寺)를 찾고 있었다. 암각화가 있는 반구천은 원래 반계(磻溪)라 불렸던 곳. 반계 계곡의 높은 곳이라는 뜻의 사찰 터는 반구천 일대로 추정됐다. 그는 산으로 둘러싸여 마을을 휘감는 반구천의 상류 울주군 천전리 일대로 향했다. 그를 맞은 것은 평평한 사찰 터가 아니었다. 이끼로 뒤덮이고 흙탕물이 흘러내린 거대한 암벽이었다. 거뭇한 암벽엔 원, 마름모, 사각형 등 기하학 무늬와 한문 글자 등 600여 점이 새겨져 있었다. 문 소장은 “처음엔 절터 옆 절벽에 그려진 마애불(바위에 새긴 불상)일 줄 알았는데, 기하학 무늬와 한문 글자들이 계속 이어져 한눈에 엄청난 유적이 아닐까 하는 직감이 들었다”고 회고했다. 울산 울주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 형상. 문명대 제공 이듬해 그의 연구팀은 주민 제보로 천전리 암각화에서 2㎞ 가량 떨어진 울주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했다. 높이 4.5m, 너비 8m의 암벽에 고래, 거북 등 바다 동물과 사슴, 호랑이, 멧돼지 등 육지 동물, 춤추는 사람과 사냥하는 장면 등 300여 형상이 펼쳐져 있었다. 문 소장은 “처음 갔을 땐 물이 올라와 고래 등 일부만 보였는데 수위가 내려간 뒤에 보니 수백 개 형상이 모습 대구 중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에 쿨링포그(안개형 냉각수)가 가동 중인 가운데 한 시민이 양산을 들고 이동하고 있다. 온열질환은 빠르게 열을 내리게 하는 게 최선이다. [사진=연합뉴스]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체온이 38°C 이상, 체감온도가 31°C 이상일 때 폭염 주의 단계에 접어든다. 무더위 속에서 야외 활동을 하거나 충분한 수분 섭취 없이 일에 집중하면, 어느 순간 우리 몸은 위험 신호를 보내기 시작한다.두통, 어지럼증, 피로감은 단순한 더위가 아니라 열사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의가 필요하다.뜨거운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열로 발생하는 급성질환온열질환은 몸을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고온 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돼 몸이 스스로 열을 식힐 수 없을 때 발생한다. 가장 심각한 형태인 열사병의 경우 중심 체온이 40°C를 넘어간다.항상성 열조절 체계가 무너지고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긴다. 심한 경우 다장기 부전으로 이어진다. 열사병은 절반 이상의 사망률을 보이는 초응급 질환인 만큼 빠른 인지와 초기 대응이 생명을 좌우한다.지나친 땀으로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탈수 증상이 생기는 ‘열탈진’과 더위 속에서 종아리나 복부에 근육 경련이 오는 ‘열경련’이 있다. ‘열실신’은 열기로 인해 말초혈관이 확장되고 혈관 운동에 이상이 생기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것을 일컫는다.국내 관련 자료를 살펴보면 온열질환 발생 장소는 실외 작업장이 가장 많다. 무더운 환경에서 일하는 산업 근로자뿐 아니라 노약자, 만성질환자(심뇌혈관, 당뇨, 신장질환 등), 고강도 운동을 하는 사람도 온열질환에 취약하다.폭염 속 온열질환 예방하기폭염 특보가 발효되면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냉방이 가능한 실내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해가 뜨거운 한낮(오전 11~오후 4)에는 가능한 한 야외 활동을 피한다. 목이 마르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물을 마셔준다.야외 활동이 꼭 필요한 경우라면 틈틈이 시원한 곳에서 열을 식혀야 한다. 땀의 증발을 돕고 열 흡수를 줄일 수 있는 헐렁하고 밝은 옷을 착용하는 게 좋다. 어지럽거나 메스꺼움, 탈진 증세를 느끼면 가까운 사람에게 빠르게 알려야 한
울산 반구천 암각화를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