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글로컬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글로컬 대학 사업 출범 이후 대학들이 새로운 혁신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만약 사업에 선정되지 않더라도 고민한 결과가 향후 대학들의 청사진이 될 것이다.” 윤소영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관(사진=교육부 제공) 윤소영 교육부 지역인재정책관(국장)은 2023년 출범한 글로컬 대학 사업 이후의 가장 큰 변화를 지방대들의 치열한 고민에서 찾았다. 학령인구 감소 시대, 지방 소멸까지 거론되는 상황에서 지방대들이 생존을 위해 치열한 고민을 시작했다는 점을 최대 성과로 꼽은 것이다. 글로컬 대학 사업은 대학 폐교 따른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교육부가 2023년 도입한 국책 사업이다. 생존 가능성이 큰 지방대 30곳을 뽑아 5년간 대학당 총 1000억원을 파격 지원하겠다는 게 사업의 골자다. 대신 대학에는 생존 전략에 해당하는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2023년에 글로컬 대학에 선정된 순천대는 기존 단과대학 체제를 아예 없애겠다는 파격을 내세웠다. 지역 산업과 연계된 △스마트팜스쿨 △애니메이션스쿨 △코스모스(우주항공·첨단소재)스쿨로 학제를 개편, 입학정원의 약 75%를 3대 특화 분야에 배정하겠다는 계획을 내걸어 사업에 선정됐다. 작년에 선정된 국립목포대는 글로컬 해양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하겠다는 계획을, 대구한의대는 한의학의 과학화·산업화를 통한 해외 진출 전략을 제시해 선정될 수 있었다. 교육부는 2023년~2024년에 각각 10곳씩, 총 20곳을 글로컬 대학으로 지정했다. 올해는 글로컬 대학 선정의 마지막 해로 오는 5월 2일까지 예비 지정 신청서를 받아 5월 중 지정 결과를 발표한다. 이어 예비 지정된 대학을 대상으로 본지정 평가를 진행, 9월에 최종 10곳을 선정한다. 대학들은 예비 지정 단계에선 혁신기획서만 제출하면 되지만, 본지정 평가에선 실행계획서로 평가받는다. 윤 국장은 “예비 지정 단계에선 혁신성에 주안점을 두고 평가하지만, 본 지정 단계에선 기획서에서 제시한 아이디어의 실행 가능성을 본다”며 “해당 해시태그 '디자인' 단 유튜브 영상 3만여개한 달간 2만여건의 검색 발생 유튜버 '디고디원찬 dgodwonchan design'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디자인 기초와 제품 브랜딩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디고디원찬 dgodwonchan design' 영상 캡쳐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상에 사회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활동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온라인 스트리밍, SNS를 통하여 자신들의 인지도를 쌓고, 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얻는 구조가 연결되면서 신종 직업으로도 각광받고 있는 인플루언서의 신세계를 IMR(Influencer Multi-Platform Ranking)의 도움을 받아 조명한다. IMR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플루언서들의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여 랭킹화 하는 서비스다. <편집자 주>[더팩트ㅣ조소현 기자] 많은 디자이너가 유튜브를 통해 자신의 작업 과정과 경험을 공유하며, 디자인의 매력을 널리 알리고 있다. 디자인을 단순한 '시각 요소'가 아닌 '개인적 경험'으로 인식하는 MZ세대가 콘텐츠 소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이들의 채널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특히 디자이너 유튜버들은 제품 디자인, UI(사용자 인터페이스)·UX(사용자 경험), 브랜딩 등 실무에 도움이 되는 팁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며 구독자와 활발히 소통한다. 디자인 이론을 쉽게 풀어내는 콘텐츠는 물론,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조언을 아낌없이 전달하며 전문성을 드러낸다. 유튜브는 이제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대중과 연결하는 중요한 창구로 자리 잡았다.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김아미 보이스오브유 연구원은 "현재 '해시태그'(#) 디자인을 단 유튜브 영상이 3만여개에 이른다"며 "검색 연령은 30대에 집중돼 있다. 한 달간 2만여건의 검색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유튜버 '디고디원찬 dgodwonchan design'은 '미니멀리스트'의 대표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디자인 기초와 제품 브랜딩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계원예술대학 겸임교수 출신인 그는 실제 브랜드 디자인 전공 수업의 커리큘럼을 기반으로, 서체부터 제안서 작성까지 실무에 필요한 핵심 노하우를 전달한다.그의 강의는 디자인 입문자뿐 아니라 고급 기술을 익히려는 디자이너들에게도 유용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글로컬